목록전체 글 (67)
Study_note
조건문과 함수 테라폼에서 조건문은 3항 연산자 형태를 갖는다 ? : var.a != "" ? var.a : "default-a" 아래와 같이 bool 값의 변수 값을 생성 variable "enable_autoscaling" { description = "If set to true, enable auto scaling" type = bool } 조건문 구문은 아래와 같다 count = ? : # 컨디션의 bool 값의 변수 넣는다 다음 count 매개변수 조건문 추가 resource "aws_autoscaling_schedule" "scale_in_at_night" { count = var.enable_autoscaling ? 1 : 0 파일에서 bool 입력 변수 값이 true 즉 1 값이고 false..
입력 변수 Variable입력 변수는 인프라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속성 값을 정의해 코드의 변경 없이 여러 인프라를 생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테라폼에서는 이것을 입력변수 Input Variables로 정의한다.데이터 소스 Data데이터 소스는 테라폼으로 정의되지 않은 외부 리소스 또는 저장된 정보를 테라폼 내에서 참조할 때 사용한다. 도전과제1 : 리전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가용영역 목록 가져오기를 사용한 VPC 리소스 생성 실습 진행 - 링크 혹은 아무거나 데이터 소스를 사용한 실습 진행 도전과제2 : 위 3개 코드 파일 내용에 리소스의 이름(myvpc, mysubnet1 등)을 반드시! 꼭! 자신의 닉네임으로 변경해서 배포 실습해보세요!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
현재 회사에서도 테라폼을 사용하지만 지금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어 가시다님 스터디를 신청했다 --- 설치 부분과 기본적인 이론은 넘어간다. terraform 명령어 terraform init : 테라폼에 코드 스캔을 지시해서 프로바이더 확인 및 플러그인 다운로드 -> 테라폼 파일이 있는 경로에 .terraform 폴더가 생기고, 파일 실행에 필요한 플러그인이 여기 설치된다. terraform plan : 테라폼 빌드 검증 테스트. 실제 변경 전에 수행할 작업 확인 ->detailed-exitcode : plan 추가 옵션으로, 파이프라인 설계에서 활용 가능, exitcode가 환경 변수로 구성됨 테라폼 파이프라인을 사용해서 dev,stg 환경을 배포하는데 아래처럼 특정 값이 출력되면 파이프라인을..
7월 3일 Kubernetes OpenInfra Community Day 2023 발표를 맡게 되었고 무사히 발표를 맞췄다. 발표자로 선정된것도 운이 좋았다 기존에 참여했던 Kubernetes study에서 Kubernetes OpenInfra Community Day 2023에 운영자를 만나게 되고 지원해보라는 조언으로 무심코 지원하니 어떨껼에 발표를 맡게 되었다 물론 초급, 중급, 고급으로 이루어진 발표에 따른 레벨이 있었으며 필자는 초급을 맡게 되었다. 이런 대규모 발표를 맡게된게 처음이었지만 순간에 두려움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고 싶지않아 보다 더 발표 준비에 신경을 많이 썼다. 주제는 Kubernetes 초심자가 놓치는 3가지 작업으로 아래와 같이 3가지를 조금 깊게 설명했다. •QoS 및 Out..
이어서 7주차 EKS Automation을 정리해본다. 마찬가지로 구축 내용은 스킵하고 그 외 자세한 내용을 정리한다 --- AWS Controller for Kubernetes (ACK) ACK : aws 서비스 리소스를 k8s 에서 직접 정의하고 사용 할 수 있음 예시) 사용자는 kubectl (쿠버네티스 api) 를 사용하여 AWS S3 버킷을 생성 할 수 있다 예시) 쿠버네티스 api 는 ack-s3-controller 에 요청을 전달하고, ack-s3-controller(IRSA)이 AWS S3 API 를 통해 버킷을 생성하게 됩니다 ACK 가 지원하는 AWS 서비스 : (‘23.5.29일) 현재 17개 서비스는 GA General Availability (정식 출시) 되었고, 10개는 Prev..
이어서 6주차 Security을 정리해본다. 마찬가지로 구축 내용은 스킵하고 그 외 자세한 내용을 정리한다 --- K8S(API 접근) 인증/인가 소개 인증(Authentication) X.509 Client Certs : kubeconfig 에 CA crt(발급 기관 인증서) , Client crt(클라이언트 인증서) , Client key(클라이언트 개인키) 를 통해 인증 kubectl : 여러 클러스터(kubeconfig)를 관리 가능 - contexts 에 클러스터와 유저 및 인증서/키 참고 Service Account : 기본 서비스 어카운트(default) - 시크릿(CA crt 와 token) **인가(Authorization)** 인가 방식 : RBAC(Role, RoleBinding), ..